스포츠 마케팅, 스포츠 비즈니스, 스포츠 소비자, 마케팅 전략 방법

전통적 프로모션 방법(광고, 홍보, PR) 본문

스포츠 마케팅, 스포츠 비즈니스, 스포츠 소비자, 마케팅 전략 방법

전통적 프로모션 방법(광고, 홍보, PR)

구리앱 2022. 7. 26. 17:03

전통적 프로모션 방법(광고, 홍보, PR)

전통적 프로모션 방법(광고, 홍보, PR)
전통적 프로모션 방법(광고, 홍보, PR)

전통적 프로모션 수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가 대표적인 촉진 수단 혹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광고, 홍보, 공존관계, 인적판매, 판매촉진 등이 있습니다. 스폰서십은 기업이 추진하는 PR이라고 불리는 공중 관계의 한 부분으로 인식돼 전통적인 촉진 방법으로 분류하진 않지만, 최근 기업에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극대화를 위해 매우 효과적인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지요. 광고 홍보 PR을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해 두 가지를 분류 정리하고 합니다.

광고

첫 번째 광고입니다. 광고는 가장 흔한 유료 촉진 방식이죠. 광고매체로는 신문과 잡지로 대표되는 인쇄매체, 라디오와 TV로 대표되는 방송매체 그리고 인터넷 매체 등이 유행했습니다. 신문은 독자 수가 적지만 높은 신뢰성을 유지하고 신축성이 있습니다. 잡지는 광고 게재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소 길지만 질의적이고 인구통계적 선별성을 통해 장기적 광고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티브이는 비용이 비싸고 과다광고에 따른 혼잡성을 띄지만, 주의도가 높고 도달 범위가 광범위합니다. 라디오는 청각에만 의존해 주의력이 TV에 비해 다소 떨어지지만, 값이 싸고 대량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매체는 선별성이 높고, 상호작용에 따른 부수적 효과가 매우 큽니다. 예를 들면 자신이 좋아하는 제품광고를 수용하고, 확장시킵니다. 다시 말해 금액이 들리지 않는 홍보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죠. 다만 스팸 광고 문제, 인터넷 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해소하는 과제는 남아 있습니다. 이 외에도 옥외 광고는 청중을 선별할 수는 없지만 비교적 비용과 경쟁이 났습니다. 또한 반복적으로 메시지가 노출되기 때문에 도로변에 서도 눈에 잘 띄는 공간을 선호하기 마련이죠. 최근 스포츠 중계와 TV 광고 중에 경기 내용과 무관하게 기업광고를 전자 자막으로 삽입하는 가상 광고가 성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송법 제73조에 따르면 가상 광고는 방송 프로그램의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만든 가상의 이미지를 삽입하는 형태의 광고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동법 시행령 제59조 2에 의거해서 가상 광고가 허용된 방송 프로그램과 가상 광고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스포츠 분야에 관한 주요 내용만을 살펴보면 우선 운동경기를 중계하거나 스포츠 분야의 방송 프로그램에는 가상광고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상파 방송인 경우 방송 프로그램 시간에 100분의 5 이내 화면에 4분의 1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상 광고가 가능합니다.

홍보

두 번째 홍보를 보실까요? 홍보는 광고와 PR과 유사한 개념으로 혼용해서 쓰이기도 하지만 비용 지불 측면과 내용면에서는 다릅니다. 광고는 매체를 갖고 있는 주체에 고가의 비용을 지불하는 개념이지만, 홍보는 기업이 아닌 대중매체 스스로 부담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즉, 홍보를 하고자 하는 주체가 전략적으로 인터넷 매체 등에 잘 유포하게 되면 돈을 들이지 않고 내용이 전파되는 것이죠. 다시 말해 제한된 메세지를 매체가 주체가 되어 전달하는 방식으로 보도자료, 기자회견, 세미나 및 콘퍼런스 개최 등이 있습니다. 비용이 거의 들지 않거나 저렴하게 홍보를 할 수 있지만 자칫 매체들의 협력이 유지가 안 되거나 부정적인 이미지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합니다.

공중관계

세 번째 공중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공중관계 즉, public relations는 줄여서 PR이라고 합니다. PR은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개발, 확산시키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비롯한 소문과 사건, 이야기 등을 희석시키고자 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즉, 홍보는 대언론 관계로 국한에서 볼 수 있지만 PR 조직의 총체적인 모든 활동을 통해 긍정적 이미지를 구축하는 개념입니다. 대언론 관계 외에도 국회의원 입법활동, 정부 관료에 대한 합법적 설득 활동, 사내외 커뮤니티 활동 등 모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PR은 홍보와 거의 유사한 개념으로 많이 쓰이지만, 보다 넓은 의미가 있는 것이죠. 기업 내에선 홍보를 담당하는 부서가 PR의 역할을 추진하게 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