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미디어와 보편적 접근권
스포츠 미디어와 보편적 접근권
스포츠 중계권 아무나 찍을 수 있을까요? 스포츠 방송과 보편적 접근권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미디어의 기원과 분류를 해보겠습니다. 1954년 세계적인 미디어학자인 마셜 맥 프로는 미디어란 용어를 처음 사용했습니다. 말 그대로 매체를 뜻합니다. 우리가 흔히 언급하는 매스미디어는 1960년대에 개념이 정립된 전통 미디어를 말합니다. 즉, 신문 잡지 출판과 같은 인쇄매체 라디오 및 TV 방송이 해당됩니다.
미디어 분류
미디어는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각 특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인쇄매체가 있습니다. 신문과 잡지 대표적입니다. 인쇄매체는 최근 인터넷 환경에 따라 정보가 즉시 사라지는 특성에 의해 오랜 기간 정보를 남겨 놓을 수도 있습니다. 제작기간이 비교적 짧아 특정 주제에 대해 기사화할 수 있습니다. 둘째 방송매체가 있습니다. 라디오와 TV가 대표적입니다. 라디오는 TV에 비해 제작 비용이 저렴하고, 청취자 별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티브이는 제작비용이 비싸지만, 개인에게 도달하는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도달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반면 불특정 다수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함으로 세분화하기가 어렵습니다. 셋째 인터넷 매체가 있습니다. 집안에서 개인용 컴퓨터에 의해 가능했던 인터넷 환경이 이젠 걸어 다니면서 손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첨단 기술 도입으로 쌍방향 의사결정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업의 투명성과 진정성이 강조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왜곡된 가짜 뉴스의 위험성은 더욱 커지게 됐고 검증 시스템에 효과적 대처방법을 고민하게 됐습니다. 직접 현장에 가지 않더라도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안에 대해 과거에 비해 꽤 정확하게 파악하는 환경이 된 것입니다. 미디어 산업은 1990년 이후 급격하게 글로벌화됐습니다. 안방 케이블 TV에서도 자리 잡아 어린이들에게도 친숙한 월트 디즈니는 복합기업이라고 불리는 콩 글로머리트로서 초대형 기업이 미래산업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019년 21세기 폭스의 영화 및 TV 사업 부분도 인수가 완료함에 따라 세계 최고의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사가 됐습니다. 이를 통해 21세기 폭스 소유의 내셔널 지오그래픽, 폭스 스튜디오, 유럽 위성방송 스카이 지분, 인도 미디어 그룹 스타 인디아 등도 건네받게 됐습니다. 무엇보다 여러분들이 좋아하시는 마블 슈퍼히어로 자산을 한 대 묶음으로써 하나의 영화에서 만날 수 없었던 히어로즈가 만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들 미디어 그룹은 산하에 TV 라디오 영화 출판 인터넷 등의 다양한 분야의 기업을 소유합니다. 각 분야에서 생산된 콘텐츠는 미래를 통해 전 세계 어디든지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미디어 산업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획일적인 문화 제국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콘텐츠 중심의 미디어 산업은 창작 재능 중심의 개념을 교환하는 시장입니다. 마치 책과 음악의 저 장료처럼 만질 수 있는 실체와 달리 확장된 서비스와 같습니다. 또한 영화와 TV 시리즈물처럼 직접 경험하기 전까지는 그 품질에 대해 알 수 없는 경험재의 특징을 갖죠. 뉴스 생방송처럼 콘텐츠 중심으로 생산되자마자 곧 소멸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스포츠 미디어와 보편적인 접근권
스포츠 미디어와 보편적인 접근권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스포츠 미디어 개념은 언제 처음 등장했을까요? 기록에 따르면 1733년 미국의 보스턴 가제트라고 하는 인쇄매체에 최초의 스포츠 기사가 실리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오늘날까지 미국에서 스포츠 뉴스를 전하는 피츠버그의 KDKA TV의 전신인 KDKA 상업 라디오 방송사에서 1921년 대중을 위한 최초의 복싱 경기를 방송했습니다. 최초의 스포츠 경기의 TV 중계는 1939년 미국 방송사인 mbc가 프리스톤 대학교와 콜롬비아대학교 간의 야구 경기를 중계하면서 시작됐습니다. 같은 해에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 경기를 방송하면서 오늘날 대표적인 스포츠 방송 프로그램이 되었습니다. 보편적 접근권이란 1934년 미국 통신 법에 따라 적절한 비용으로 기본적 통신서비스를 모든 국민들에게 널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정보권을 새로운 인권과 복지의 개념으로 확립해야 한다는 것이죠. 즉, 지금 능력과 관계없이 누구나 정보를 자유롭게 접근하고 새로운 정보를 생산 유통할 수 있는 권리를 뜻합니다. 일부 방송사의 인기 스포츠 경기 중계 고액 독점으로 인한 유료 방송은 일반 시청자들의 비용을 소유하고 무료 시청 권리라는 측면에서 갈등의 소지가 있습니다. 1990년대 영국에선 스포츠 방송에 공익성과 다수가 볼 수 있는 권리를 침해받지 못하도록 유료방송사에 대한 규제가 있었습니다 이를 원용하여 국내에서도 대영 스포츠 이벤트와 같이 국민적 관심이 매우 큰 스포츠 경기를 지상파 채널에서 방송권을 확보함으로써 많은 시청자에게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국내에서도 2007년에 제정된 방송법에 처음으로 도입됐습니다. 방송법 제76조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에 공급 및 보편적 시청권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방송 사업자는 국민적 관심이 큰 체육경기대회를 일반 국민이 시청할 수 있도록 다른 방송 사업자에게도 공정하고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해야 합니다.